YOUR ANIMAL MEDICAL CENTER
특화 전문진료를 통해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심장학 (Cardiology) 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심장질환이나 순환기계의 이상을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수의심장학에서는 주로 선천성 심장병, 심부전, 심장판막증 또는 전기생리의 진단과 치료를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여러 가지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심장질환의 평가에 대한 검사
심장질환의 평가에 대한 검사로 혈압, 심전도, 혈액검사, 바이오마커검사, 방사선, 초음파, 심장조영검사 등이 있습니다.
혈압
환자의 고혈압 또는 저혈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합니다.
심전도
심부전 환자에 대한 전기적 흐름의 평가를 위해 실시하게 됩니다.
• 부정맥 진단, 심부전 환자에 대한 비정상적 전도 판단
• 실신환자에 대한 진단
심장 조영검사
심장내 문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C-ARM과 조영제를 이용한 조영촬영을 실시하게 됩니다.
혈액검사
심장질환 환자의 전신적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필수적 검사입니다.
• 주로 CBC, 혈청화학검사, 전해질검사 및 혈액가스검사를 진행
• 특히 심부전환자에 대한 약물치료시 환자의 장기생존을 위한 합병증 (콩팥병, 췌장염, 간울혈 등)을 평가하기 위한 필수적인 검사
바이오마커 검사
바이오마커란 심장질환을 조기에 진단하고자 개발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 현재 임상기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평가기법
• 특히 심장질환의 감별이 까다로운 고양이 환자에서 호흡기 질환과의 감별에 매우 유용
방사선 검사
환자의 형태적 진단기법 중 방사선을 투시하여 이미지를 평가하는 진단기법입니다.
• 주로 심장과 혈관을 포함한 흉강의 구조물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
• 복부의 장기평가에도 사용
초음파 검사
환자의 형태적 진단기법 중 초음파를 투시하여 이미지를 평가하는 진단기법입니다.
• 특히, 심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내부 구조물 뿐만 아니라, 혈액의 흐름과 압력을 평가하여 심장의 상태를 평가
• 장질환 환자들은 콩팥이나 췌장 그리고 간 등의 장기에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복부 장기평가에도 매우 유용한 검사기법
만성 판막 질환
• 판막질환 :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두 개의 심실은 각각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혈액을 유출합니다. 이러한 공간내에 혈액의 역류를 막는 구조적 막성 구조물을 판막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판막에 질환이 발생하게 되면 혈액의 역류를 막는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혈액이 역류하게 되며 이로인하여 울혈성 심부전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심장사상충 감염
• 심장사상충 : 모기가 전파시키는 기생충성 질환으로 심장의 폐동맥과 우심실 및 우심방에 기생충이 기생하여 혈관과 심내막을 손상시키고 혈액의 박출을 저해하여 혈관압을 상승시키는 매우 치명적인 질병입니다. 하지만, 한달에 한번 정기적인 자충 구제와 일년에 한번 정기적인 검진을 실시하게 된다면 심장사상충은 예방이 가능합니다. 심장사상충 구제가 적절하지 못해 심각한 환자에 대하여는 심장 중재술을 통하여 심장사상충 성충을 제거하고 내과적 처치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상충으로 발생한 혈관의 구조적 손상은 회복하지 못하고 폐동맥 고혈압을 영구적으로 발생시키기도 하므로 사상충 구제는 필수적인 예방조치입니다. 예방은 가장 좋은 치료입니다.
비대성 심근증
• 비대성 심근증 :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심장질환으로 원인은 뚜렷하지 않지만, 심실의 근육이 두꺼워져 발생하는 심장질환입니다. 발생연령은 어린 고양이부터 나이든 고양이까지 다양한 연령대에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렉돌이나 메인쿤에서는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 발생함이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비대성 심근증은 폐부종이나 흉수 그리고 혈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비대성 심근증은 초기에 발견하여 약물, 식이요법 등의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질병의 정도를 개선시키게 됩니다.
선천성 심장질환
선천성 심장질환은 태아순환때 사용되던 혈관이 출생 후에도 여전히 닫히지 않아 발생하는 해부학적 이상질병입니다.
이로인해 출생후 비정상적인 혈류 순환으로 가스교환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인해 심잡음과 청색증 그리고 심장의 비대가 발생하게 됩니다.
선천성 심장질환의 종류
질병의 종류로는 동맥관개존증, 폐동맥 협착증 그리고 대동맥 협착증이 주로 강아지에서 발생하며,
심실중격결손증이나 삼첨판 이형성증은 고양이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질병은 경우에 따라서 조기에 발견시 완치가 가능하므로 반드시 검진이 필요한 질병입니다.
심장 중재술
천성 심장질환의 경우 심장 중재술을 통해 일부 선천성 심장병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심장 중재술이란 혈관에 특수한 카테터를 장착하고 장착된 카테터를 통해 심장의 비정상적인 구조물까지 특수한 도구를 이용하여 교정하는 시술입니다.
심장 중재술의 종류
심장 중재술은 동맥관개존증, 판막 협착증, 심장사상충 중감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시술됩니다.